-
천연염색 산업에 종사하는 브랜드, 제조업체, 공방 운영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국제 품질 기준과 인증 절차
천연염색은 수천 년의 전통과 함께한 공예이자 예술입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소비자는 감성적 가치뿐 아니라 제품의 품질, 안전성, 지속가능성을 함께 요구합니다.특히 글로벌 시장에서 천연염색 제품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일관된 품질과 국제 인증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그렇다면 천연염료에 대해 어떻게 품질을 객관화하고 국제 인증을 받을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천연염료를 사용하는 제조사, 디자이너, 공방 운영자를 위한 ISO 기준, 인증 절차, 사후 관리 가이드를 정리했습니다.
1. 천연염료 관련 국제 품질 기준 (ISO 표준)
천연염료에 적용되는 품질 기준은 주로 염색 견뢰도(Fastness) 관련 ISO 시험 규격으로 평가됩니다.
이 기준은 염료가 다양한 조건(물, 땀, 햇빛 등)에서 얼마나 안정적으로 색을 유지하는가를 측정합니다.
📌 대표 ISO 시험 항목
항목 설명 ISO 규격 색상 견뢰도 (세탁) 세탁 시 색 빠짐 정도 ISO 105-C06 색상 견뢰도 (땀) 땀에 의한 탈색·이염 ISO 105-E04 색상 견뢰도 (마찰) 마찰에 의한 이염 ISO 105-X12 내광성 (Light Fastness) 햇빛 노출 시 색상 유지 ISO 105-B02 염료 고착도 원단에 얼마나 잘 고정되는지 ISO 105-C08 등 이 중에서도 ISO 105-C06은 천연염색 인증 심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활용되는 기준입니다.
🌿 천연염색이라도 일정 수준의 세탁 견뢰도(Grade 3 이상)는 확보해야 국내외 유통이 가능합니다.
2. ISO 인증 절차: 단계별 상세 가이드
ISO 품질 시험 및 인증은 일반적으로 섬유 시험 기관을 통해 진행합니다.
아래는 ISO 105 시리즈에 따라 염색 원단 또는 완제품의 견뢰도 시험 및 인증을 받는 일반적인 절차입니다.✅ 인증 프로세스
- 사전 준비
- 염색된 원단 또는 완제품 확보 (1m 이상 권장)
- 사용된 염료 정보 및 배합 내역 정리
- 시험 희망 항목(세탁, 마찰, 내광 등) 선택
- 시험기관 접수
- 국내: FITI 시험연구원, KOTITI 시험연구원, 한국섬유소재연구원 등
- 해외: SGS, Intertek, Bureau Veritas 등
- 시험 진행
- 기관 내 ISO 규격 시험 진행 (약 5~7일 소요)
- 시험 성적서 발급
- Grade 1~5 등급으로 견뢰도 표시
- Grade 3 이상이면 통상적으로 ‘통과’ 기준
- 추가 인증서 신청(선택)
- 일부 기관은 시험 성적서 외에 공식 ISO 인증서도 발급 가능
💰 인증 비용 및 소요 시간
항목 국내 기관 기준
항목 국내 기관 기준 시험 비용 항목당 약 8만 ~ 15만 원 전체 소요 기간 약 710일 (준비인증서 수령까지) 재시험 시 동일 항목 30~50% 할인 가능 ※ 복수 항목(세탁+마찰+내광성) 신청 시 패키지 할인 가능
※ 급행 처리 가능 (추가 요금)
3. 인증 후 사후 관리 및 갱신 전략
ISO 인증은 대부분 ‘제품 단위’로 발급되며, 정기적인 재검사를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염료 배합을 바꾸거나, 원단이 달라지는 경우 반드시 재시험이 필요합니다.
🔁 사후 관리 Check 리스트
- 새로운 염료 조합 도입 시 → 재인증 필수
- 유통사 요청 시 견뢰도 성적서 제출용 → PDF 보관 필요
- 견뢰도 낮은 제품(Grade 2 이하)은 유통 지연 가능성 有
- 일정 주기로 자체 QC 테스트 추천 (예: 분기 1회)
4. 천연염료 ISO 인증 활용 동향 (국내외)
천연염료 관련 ISO 인증은 아직 대중적인 수준까지 확산되진 않았지만, 일부 공방·소규모 브랜드·수출 기업을 중심으로 점차 도입이 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과 북미 시장에서는 친환경 및 비건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염료의 안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증명할 수 있는 국제 인증이 실질적인 수출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해외 바이어들은 제품 단위의 품질보다 공정과 원료의 검증을 중요시하며, ISO 105 시리즈(색상 견뢰도, 내광성, 내세탁성 등) 성적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천연염색 공방이나 제조업체가 ISO 시험을 선제적으로 준비해두면, 브랜드 신뢰도 확보와 글로벌 시장 진출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 수 있습니다.한국의 경우, 관련 인증을 보유한 천연염료 전문 브랜드는 아직 많지 않지만, 지자체 지원사업이나 소재 특화 연구소를 통한 시험 대행 및 인증 컨설팅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초기 진입의 진입장벽도 낮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5. 천연염색 인증과 지속가능성 (ESG 연결 전략)
요즘은 단순히 '천연이다'라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경쟁력이 부족합니다.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투명하게 인증하고 입증하는 것이 소비자와 바이어 모두가 원하는 방향입니다.💡 ESG 경영과의 연결 포인트
- 🌱 탄소배출량 감축 (합성염료 대비 최대 40% 감소)
- 💧 수질오염 저감 (중금속 無 첨가 입증)
- 🧵 로컬 전통기술 계승 및 고용 창출
- 🔐 ISO, GOTS, OEKO-TEX 인증으로 ESG 리스크 대응
인증이 경쟁력이 되는 시대
천연염색은 이제 감성적 공예를 넘어 전문성과 품질 신뢰가 필요한 산업입니다.
ISO 105 시리즈를 비롯한 품질 표준을 갖추는 것은 단순한 ‘인증서’를 넘어, 브랜드의 신뢰와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자산이 됩니다.
🔗 참고 링크 및 기관
'천연염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천연염색 시장 동향 및 전망 분석 (44) 2025.08.06 인디고 vs 아디레 vs 이타테: 전통 천연염색 3대 기법 심층 비교 (76) 2025.08.05 오디(Mulberry)로 완성하는 딥 로즈: 전통과 실험, DIY 가이드까지 (35) 2025.08.05 블랙 마늘(Black Garlic)로 완성하는 차콜 그레이 (67) 2025.08.04 금잔화(Marigold)로 완성하는 선명 오렌지 옐로우 (68) 2025.08.03 김(Nori Seaweed)으로 얻는 딥 포레스트 그린 (51) 2025.08.02 피스타치오 껍질(Pistachio Shell)로 담아내는 은은 민트 그린 (70) 2025.08.01 라디치오(Radicchio)로 뽑아내는 매혹의 마젠타 (85) 2025.07.31 - 사전 준비